초록 |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공공디자인 연구 동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주제의 변화 및 개념적 확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범위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공공디자인’ 키워드로 검색된 2,050편의 논문이며, 이를 대상으로 주제어 빈도 분석, 국문 초록 분석(TF-IDF, N-gram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10년 이후 공공디자인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2016년 공공디자인법 제정 이후 연구의 폭이 확장되었다. 특히, 공공디자인 연구가 초기의 물리적 환경 개선 중심에서 서비스디자인, 도시재생, 유니버설디자인 등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TF-IDF 분석 결과, ‘공공디자인’, ‘서비스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등의 개념이 연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구 주제가 점차 공공서비스와 정책적 요소와 연계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N-gram 분석을 통해 ‘공공 디자인 정책’, ‘도시 재생 사업’, ‘사회 문제 해결’ 등의 개념이 연구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공공디자인 연구가 단순한 공간 조성에서 벗어나 정책적 실행 및 실무 적용과 밀접하게 연계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연구의 흐름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 및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