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형문화유산의 문화 상품 이미지 생성에 관한 연구-Stable Diffusion와 Midjourney을 이용한 중국 공예품 경태람을 중심으로
영문
A Study on the Creation of Cultural Products Imag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on the Chinese craft Cloisonne using Stable Diffusion and Midjourney
저자
무탁심,송지성
첨부파일
초록
경태람은 중국의 무형문화유산으로서 풍부한 역사적·문화적 함의와 독창적인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대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전통 공예의 단절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경태람 예술 역시 전승과 혁신이라는 이중적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Stable Diffusion과 Midjourney 기술을 중심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시각 이미지 생성의 혁신적인 방법을 탐구하고, 경태람의 문화상품 이미지를 설계하고 생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 연구법과 디자인 실천법 등의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연구 범위는 생성형 AI 도구, 무형문화유산과 문화상품의 개념, 무형문화유산 디지털화의 새로운 경로 탐색 및 디자인 실천을 포함한다. 실험 단계에서는 경태람 관련 지식 그래프를 구축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LoRA 모델을 구성하고 학습시킨 후, 이를 기반으로 Stable Diffusion을 제어하여 경태람 문화상품의 시각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이미지는 Midjourney를 활용하여 최적화하였다. 실험 결과, Stable Diffusion과 Midjourney는 창의성과 예술성을 갖춘 시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생성하였으며, 이는 경태람에 새로운 시대적 활력과 창조적 가능성을 부여하고, 무형문화유산의 디지털 전승 및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