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and Structural Limitations of Universal Design in Professional Sports Facilities in Korea
저자
노규랑,장영호
첨부파일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프로스포츠 경기장의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UD) 적용 실태와 구조적 한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용적 스포츠 공간 조성을 위한 정책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고령화와 사회적 다양성의 증대에 따라 스포츠 공간의 물리적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은 단순한 복지 영역을 넘어 공공성과 수익성 모두에 직결되는 핵심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프로스포츠 경기장은 대부분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고, 프로구단이 임대 또는 위탁 운영하는 구조 속에서 초기 투자에 대한 책임과 수익 환수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이는 UD 도입을 저해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장애인,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관람 편의성 확보는 경기장의 사회적 책무뿐만 아니라, 팬층 확대와 수익 구조 개선이라는 측면에서도 전략적 의미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해외 주요 경기장의 사례 분석을 통해 UD의 전략적 효과를 고찰하고, 국내 적용을 위한 정책적·제도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소유-운영 구조의 재정립, 관련 법령의 실효성 강화, 재정 인센티브의 체계화, 민관 협력 기반의 실행 구조 마련, 그리고 UD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 등이 주요 정책 과제로 제안되었다.